반응형
MacOS 에서는 인코딩 디코딩을 쉽게 할 수 있다
보통 hex to ascii 툴로 변환을 주로 했지만 MacOS 자체에 변환 기능이 있어 간단한 인코딩 디코딩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악성 메일의 유형을 보면 링크에 base64 로 인코딩 된 내용들을 접할 수 있다
* 도메인이 활성화되어 있어 일부 ** 처리
hxxp://82m1su.****.shwcoaching.space/#/5652PJDT.aHR0cHM6Ly9leGNobi13bWFpeDMtc2VydnIuMC****************NvcnAuY29tJmFidWlfaWQ9ODQ5JnRhZ19uYW1lPUtvYl9BX1RlYWRib29rJm9wZXJhdGl2ZV9pZD01NjYyODg=
예를 들어 Base64 의 인코딩 디코딩은 간단하다
waggo&tra 문자열을 base64 로 인코딩하면 이렇다
tra@tra.k ~ % echo -n 'waggo&tra' | base64
d2FnZ28mdHJh
base64 코드로 변한 'd2FnZ28mdHJh' 문자열을 다시 디코딩하면 이렇다
tra@tra.k ~ % echo "d2FnZ28mdHJh" | base64 -d
waggo&tra%
여기서 궁금증 탄생
왜 뒷부분에 % 문자열이 달릴까?
아마도 내가 쓰고 있는 zsh 환경 때문으로 보인다
zsh 셸을 사용하고 있고 이전 명령의 출력이 줄 바꿈 문자(newline character, \n)로 끝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표시
- 25.04.30 encoding decoding 기록 -
728x90
반응형
'공부 > 콤퓨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requests' (106) | 2024.10.13 |
---|---|
Black Hat 2024 그리고 Defcon 32 (124) | 2024.08.31 |
Black Hat 2024 Conference 참석 (116) | 2024.08.30 |
생성형 AI 시대의 기회와 리스크 (226) | 2024.08.24 |
AhnLab Tech Summit 2024 (228) | 202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