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부를 하다보면 홍춘옥 박사님의 기사들을 종종 보게 된다
이번에 읽은책은 바로 홍춘옥 박사님의 "돈의 역사" 이다
책 제목처럼 세계의 굵직했던 50대 사건에 대한 기록에 대해 짤막하고 이해하기 쉽게 쓴 책이라고 생각된다
제작년에 경제를 공부할때 어렴풋이 알게 된 지식들이 이 책을 읽으므로써 다시 되살아난 지식이 된거 같아서 뿌듯했다
세계 경제는 돌고 돈다는 말이 이해가 되는거 같다, 경제의 논리는 예나 지금이나 비슷한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였던 "동인도회사"를 만나서 반가웠고 금본위제를 폐지할수 밖에 없었던 배경과 그로 인해 중앙은행의 힘이 쎄질수 밖에 없었던 이유.. 그래서 "중앙은행에 맞서지 말라" 라는 명언도 다시 보니 반가웠다
금리의 상하관계에 따른 인플레와 디플레의 관계에 대해 다시한번 각인시켰다
책에서 언급된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볼때 앞으로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지 고민이 생긴다
국민 소득대비 너무 올라버린 비싼 부동산을 보면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지?
반대로 생객해보면 경제를 5년만 일찍 알았다면 부동산이란 사다리를 올라타고 삶이 더 여유로워 졌을지도 모르겠다.. 어째튼 경제를 알고 움직여서 자본을 만든자들의 승리라고 생각되고 무지했던 내 스스로를 탓하는 수밖에 ㅠ..ㅠ
암튼 현재는 부동산에 돈이 묶여있고 빚을 갚기 위해 소비는 줄어들고 있고 내수는 어려워지는 악순환에서 탈출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에도 "청산주의" 가 와서 경제의 시련이 생기려나?
개인적으론 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대는 그만 되었으면 좋겠고 주 40시간에 걸맞는 시대에 맞게 개인의 행복을 위한 투자가 되는 삶을 살 수 있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작은 희망을 가져본다
내가 행복해야 가정이 행복하다 !!
- 19.12.28 돈의 역사를 읽고 -
'공부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젊은 부자들 - 이신영 (0) | 2020.02.12 |
---|---|
돈의 감각 - 이명로(상승미소) (0) | 2020.01.12 |
디커플링(Decoupling) - 탈레스 S.테이셰이라 (0) | 2019.12.20 |
모의해킹이란 무엇인가? - 조정원 (2) | 2019.11.29 |
2019 매경 아웃룩 대예측 (0) | 2019.10.13 |